본문 바로가기
기타/주식

[비트코인] 가격과 주요국 M2의 상관관계 분석 (2024~2025)

by S.P 2025. 3. 31.

비트코인 가격과 주요국 M2의 상관관계 분석 (2024~2025)

M2와 비트코인


1. 요약 (Summary)

2024년 한 해 동안 비트코인 가격은 급등락을 거쳐 2025년 초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했으며, 같은 기간 미국, 유로존, 중국, 일본 등 주요 경제권의 M2 통화량은 완만한 증가 또는 정체를 보였습니다. 전반적으로 **비트코인 가격과 각국 M2는 2024년~2025년 초에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습니다. 피어슨 상관계수는 국가별로 약 0.75~0.80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통화량 변동이 수개월 선행할 때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습니다. 다만, 이는 주로 장기 추세에 따른 결과로, 월별 단기 변동률의 상관성은 크지 않았습니다. 본 보고서에서는 데이터에 기반해 이러한 상관관계를 시각화하고 해석합니다.

2. 데이터 및 분석 방법

데이터 범위: 2024년 1월 1일부터 2025년 3월 28일까지의 기간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비트코인 가격은 달러화 기준 일간 종가 데이터를 주간/월간 평균으로 집계하지 않고, 월말 가격을 사용했습니다. 주요국 M2 통화량은 각국 중앙은행 및 공신력 있는 통계 출처의 데이터를 활용했으며, 월간 말 잔액 기준으로 수집했습니다. 각 국가별로 사용한 M2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 연준(Federal Reserve)의 M2 통화량 (계절조정, 단위: 억 달러). 데이터는 연준 H.6 통화량 보고서에서 발췌했습니다 (참조1) (참조2).
  • 유로존: 유럽중앙은행(ECB)의 M2 통화량 (계절조정, 단위: 조 유로). YCharts를 통해 ECB 데이터를 확인했습니다 (참조3) (참조4).
  • 중국: 중국인민은행(PBoC)의 광의통화 M2 (단위: 조 위안). 2024년 12월 말 M2 잔액은 313.53조 위안으로 전년동월대비 7.3% 증가한 것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참조5). 2025년 1월 말 M2는 318.52조 위안으로 성장률 7.0%를 기록했습니다 (참조6).
  • 일본: 일본은행(BOJ)의 M2 통화량 (평잔, 단위: 억 엔). 일본의 M2는 2024년 내내 약 1,250조 엔 수준에서 거의 변화가 없었는데, 2024년 4월에 1,259조 엔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큰 증감 없이 2025년 1~2월에도 약 1,253~1,259조 엔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참조7) (참조8).

비트코인 가격: 암호화폐 시황 사이트의 달러 기준 종가 데이터를 이용했습니다. 2024년 3월 말 비트코인 가격이 약 $7.3만으로 2021년 고점을 넘어섰고, 이후 조정기를 거쳐 2024년 12월 초에는 최초로 $10만 달러를 돌파하였습니다. 2025년 1월에는 약 $10만 달러 초반까지 상승한 뒤 조정을 거쳐 3월 말에는 약 $8.7만 달러 수준이었습니다. (글을 쓰는 현재는 약 $8.2만 달러)
분석 기법: 비트코인 가격과 각국 M2 간 피어슨 상관계수를 계산하고, 시차 상관관계(cross-correlation) 분석을 통해 몇 개월의 시간차를 두었을 때 상관성이 어떻게 변하는지 검토했습니다. 필요에 따라 로그 변환이나 표준화도 고려하였으나, 본 기간 내 변수들의 방향성과 추세 파악에 중점을 두기 위해 수준 값 자체를 분석했습니다. (단, 변동률 기반 상관도도 참고적으로 계산했습니다.)

3. 비트코인 가격과 M2의 시계열 동향

 

  • 비트코인: 2024년 1월 약 $3.5만 달러 수준이던 비트코인은 3월 말 경 $7만 달러를 넘어서며 급등했습니다. 이후 여름 동안 조정을 거쳐 6월~8월에는 $5만 달러대에서 등락을 보였습니다. 9월부터 다시 상승 국면을 맞아 11~12월에 큰 폭으로 올라 12월 초 $10만 달러를 돌파했고, 12월 말 약 $9.6만 달러로 해를 마감했습니다. 2025년 1월에는 일시적으로 $10만 달러를 상회했으나 2월~3월에는 조정되어 3월 28일 현재 약 $8.7만 달러 수준입니다. 전체적으로 2024년 초부터 2025년 3월까지 비트코인 가격은 약 2.5배 상승한 셈입니다.
  • 미국 M2: 2024년 초 $20.8조 달러 수준에서 시작해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참조9). 2024년 내내 연준의 긴축 기조 완화 등으로 M2 증가율이 플러스로 전환되어, 2025년 1월에는 $21.6조 달러를 넘겼습니다 (참조10). 연간 증가율로는 약 +3.9% 수준입니다. 미국 M2는 추세적으로 꾸준히 증가했지만, 증가 폭(약 $0.8조) 자체는 비트코인 가격 상승폭에 비해 미미하여 그래프에서 거의 직선에 가깝습니다.
  • 유로존 M2: 2024년 초 약 15.1조 유로에서 2024년 말 15.57조 유로로 증가했습니다 (참조11) (참조12). 증가율은 약 +3.1%로 미국과 유사합니다. 다만 유럽의 통화공급은 중간에 약간의 둔화와 회복을 거치는 등 완만한 등락이 있었습니다. 전반적으로 큰 추세 전환 없이 약간 증가하는 모습으로, 비트코인 가격과 방향성은 대체로 일치했습니다.
  • 중국 M2: 2024년 초 추정 ¥300조 위안 안팎이던 중국의 M2는 연말 ¥313.5조로 늘었습니다 (참조13). 2024년 연평균 M2 성장률은 7%대를 유지하여 2025년 1~2월에는 ¥320.5조 위안에 도달했습니다 (참조14) (참조15). 중국 M2는 매달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특히 하반기에는 정부의 통화완화 기조 속에 M2 증가세가 지속되었습니다. 그래프에서도 완만한 우상향 직선으로 나타나며, 가파른 비트코인 가격 곡선과 방향은 같지만 기울기(변화폭)는 크게 상이합니다.
  • 일본 M2: 일본의 M2는 분석 기간 동안 거의 변동이 없었던 사례입니다. 2024년 초부터 2025년 초까지 약 ¥1,245조 ~ ¥1,259조 엔 사이에서 횡보하였으며 (참조16), 성장률은 연간 1% 내외로 정체 상태였습니다 (참조17). 일본은 2024년 동안 통화정책을 크게 변경하지 않아 M2에 움직임이 적었고, 이에 따라 일본 M2와 비트코인 가격 간에는 눈에 띄는 동행 움직임이 없어 보입니다. 그래프에서도 파란선(M2)은 거의 평탄한 반면 비트코인 가격은 크게 출렁였습니다.

요약하면, 비트코인 가격은 2024년 한 해 동안 매우 큰 폭의 변동과 상승을 보였으나, 주요국의 M2는 대부분 소폭의 증가 또는 정체를 보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 가격이 2024년 하반기에 상승세를 나타낼 때 주요국 M2도 대체로 증가 내지 높은 수준 유지를 보여, 방향성 측면에서 일치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다음으로 이러한 관계를 상관계수로 정량적으로 살펴봅니다.

4. 상관관계 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우선 2024년 1월부터 2025년 초까지의 단순 상관관계를 계산한 결과, 비트코인 가격과 각국 M2 간 피어슨 상관계수 rr는 아래와 같았습니다:

  • 미국 M2 vs 비트코인: r ≈ 0.78
  • 유로존 M2 vs 비트코인: r ≈ 0.79
  • 중국 M2 vs 비트코인: r ≈ 0.75
  • 일본 M2 vs 비트코인: r ≈ 0.75

모든 경우 상관계수가 +0.7 이상으로, 통계적으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입니다. 이는 2024년 동안 비트코인 가격과 유동성 지표(M2)가 함께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냈음을 의미합니다. 특히 미국과 유로존의 M2와 비트코인 가격 간 상관관계가 0.78~0.79로 가장 높게 나왔는데, 이는 해당 기간 미국과 유럽의 통화공급 완화 기조 및 풍부한 유동성이 비트코인 등의 위험자산 가격 상승과 맞물려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중국과 일본의 경우에도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나긴 했으나, 이는 장기 추세가 일치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예: 중국 M2 지속 증가 + 비트코인 상승, 일본 M2 정체 + 비트코인 정체 구간 포함).
한편, 월간 변동률 기준으로 상관관계를 보면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나 그 크기는 다소 낮았습니다 (상관계수 약 0.2~0.3 수준). 이는 비트코인 가격의 단기 등락과 M2의 월간 증감 사이에는 뚜렷한 동행 움직임이 크지 않고, 앞서 제시한 0.75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는 추세적 상승 구간의 겹침에 기인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2024년 초~말에 비트코인과 M2가 모두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월별로 세부적으로 보면 비트코인 가격은 중간에 급락/급등을 거듭한 반면 M2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움직여 단기 상관성은 제한적이었습니다.

반응형

5. 시차 상관관계 분석 (Cross-Correlation)

두 변수 간 상관관계가 시간차를 두고 어떻게 변화하는지도 분석했습니다. 즉, M2가 증가한 후 일정 시차를 두고 비트코인 가격이 반응하는 패턴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시차 상관계수를 계산했습니다. 아래 히트맵은 M2 변화가 몇 개월 앞서는지(+) 또는 뒤지는지(-)에 따른 비트코인 가격과의 상관계수를 나타낸 것입니다.

각 행은 국가별 M2와 비트코인 가격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열은 시차(lag)를 의미합니다. lag = 0은 동시간(동월) 상관관계이고, 양의 lag는 M2가 해당 개월 수만큼 비트코인에 선행한 경우 상관계수입니다. 히트맵의 색상이 붉을수록 상관성이 높음을 뜻합니다.
Fig 2: 2024년 동안 비트코인과 M2의 시차 상관관계 히트맵. 음(-)의 lag에서는 비트코인이 선행, 양(+)의 lag에서는 M2가 선행을 의미한다.
히트맵을 보면 공통적으로 lag 0 (동월 상관)도 높지만, lag +3~+5개월 부근에서 상관계수가 가장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 미국의 경우 동월 상관계수 약 0.78에서, M2가 5개월 선행할 때 상관계수가 0.83까지 높아집니다. 유로존도 동월 0.79 → +4개월 선행 시 0.83으로 증가합니다.
  • 중국과 일본의 경우도 상관계수가 lag +5에서 최고치 부근(≈0.87~0.88)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본의 M2는 변동이 거의 없었음에도 비슷한 패턴을 보이는 것은, 비트코인 급등 시점(2024년 말)이 수개월 전에 이미 M2 수준이 높았던 것과 맞물려 수치상 상관이 높게 나타난 결과입니다.

반대로 비트코인이 M2에 선행(-lag)하는 경우(좌측 청색 영역들), 상관계수가 현저히 낮거나 경우에 따라 음의 값을 보입니다. 이는 비트코인 가격이 먼저 움직이고 나서 통화량이 변하는 인과관계는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실제로 비트코인의 급등락이 각국 통화공급에 영향을 주었다기보다는, 통화량 등 유동성 요인이 비트코인 등 자산시장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더 타당함을 뒷받침합니다.
정리하면, 2024년 기간 동안 M2 통화량 지표가 강세를 보인 후 몇 달 뒤에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는 경향이 관찰되었습니다. 이는 유동성 확대가 시차를 두고 자산 가격에 반영되는 일반적인 현상과 부합합니다. 물론, 본 분석은 인과를 증명하는 것은 아니며 단순 상관관계일 뿐이지만, “풍부한 유동성 → 위험자산 상승”이라는 가설과 일치하는 양상입니다.

6. 결론 및 해석

2024년부터 2025년 1분기까지 비트코인 가격과 주요국 M2 통화량 사이에는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습니다. 특히 미국과 유로존의 M2 증가세와 비트코인 가격 상승이 거의 같은 시기에 발생하였고, 상관계수도 높았습니다. 이는 2024년 하반기 비트코인 급등장이 단순한 가상자산 내부 요인뿐만 아니라 글로벌 유동성 환경의 개선과 맞물려 있었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시차 상관분석을 통해 볼 때, 통화량 지표가 앞서 움직이고 비트코인 가격이 뒤따르는 패턴이 관찰되어, 통화완화 정책이나 유동성 증대가 비트코인 등 위험자산에 몇 개월의 시간차를 두고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참조18). 예를 들어 미 연준의 통화공급 증가와 시장 금리 안정이 2024년 하반기 비트코인 랠리를 뒷받침한 요인 중 하나였을 수 있습니다. 반면, 비트코인 가격 변화가 통화량에 영향을 주는 뚜렷한 증거는 없었습니다 (상관관계가 선행 시차에서는 낮음).
그러나 본 분석은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에 한정되어 있으며, 비트코인 가격과 M2의 관계가 항상 일관되게 유지되는 것은 아닙니다. 2024년은 전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 둔화와 통화정책 전환 기대 등으로 유동성이 개선된 시기였고, 이와 동시에 비트코인에 대한 제도권 수요(예: ETF 승인 이슈 등) (참조19)가 겹쳐 가격이 상승한 특수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이 기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인과관계로 단정해서는 안 됩니다.
요약하면, 2024~2025년 초에는 비트코인 가격과 주요국 M2가 함께 상승하는 경향을 보여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통화량 증가가 일정 기간 선행되는 모습도 포착되었습니다. 이는 유동성이 비트코인과 같은 자산에 중요 변수일 수 있음을 시사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규제, 투자수요, 매크로 경제 등의 복합적인 요소들도 가격에 영향을 미치므로 종합적인 해석이 필요합니다.

6. 비트코인 2025년 4월 가격 예측 

2025.03.31 - [기타/주식] - [비트코인] 글로벌 M2 추세 기반 비트코인 가격 전망 (2025년 4~9월)

 

[비트코인] 글로벌 M2 추세 기반 비트코인 가격 전망 (2025년 4~9월)

글로벌 M2 추세 기반 비트코인 가격 전망 (2025년 4~9월)최근 6개월 글로벌 M2 통화량 동향지난 6개월 동안 미국, 유로존, 중국, 일본 등 주요 경제권의 M2 통화량은 완만한 증가 추세를 보여왔습니다.

dobong-gu.tistory.com

 

반응형